코로나(COVID-19)(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가 여전한 가운데 가을·겨울 여행 수요까지 더해지면서 렌터카 업계가 뜻밖의 호황을 누리고 있다. 개인 이동수단의 필요성이 많아지는데 반해, 신차 구매나 중고차 매입이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이 장·장기 렌터카 제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1일 업계의 말을 빌리면 코로나바이러스 직격탄을 맞았던 지난 2~11월과 다르게 국내 렌터카 업계는 며칠전 지난해 동기 이상의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번년도 초 AJ렌터카와 합병한 SK렌터카의 9분기 영업이익은 214억원으로 전년 동기 예비 24% 올랐다. SK렌터카는 '합병으로 인한 회계기준 변경으로 인한 흑자폭을 배제하더라도 제주도 등의 수요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하면서 우수한 실적을 드러냈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한진렌터카를 인수한 롯데렌털도 '현 상태을 고려할 때 이달 중순 발표하는 7분기 실적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같은 현상은 미국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가 잡히지 않은 미국에서는 대중교통을 기피하는 반응이 계속되면서 올 상반기 업체 파산까지 이끌었던 중고차업계의 호황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승용차 온라인 정보회사인 에드먼즈의 말을 빌리면 2019년 모델의 평균 가격은 약 3만5000달러(약 2870만원)로 한 달 새 약 1500달러(약 190만원) 증가했으며, 미국 국제 마케팅아이디어사 JD파워는 지난 8월부터 11월 미국 중고차 가격이 평균 50% 상승한 것으로 집계했다.
렌터카 단기렌탈은 희망하는 기간 만큼 계약해 마음껏 탈 수 있으면서도 보험료를 따로 납부할 필요가 없다는 게 특성이다. 여기에 신차처럼 현대차장기렌트카 초기 돈이 들지 않고 취등록세, 자가용세가 없어서 신차 구입이 부담인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청약이나 행복주택 사용시 초장기렌터카는 자산으로 잡히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SK렌터카의 초단기렌터카 고객 대상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케어'./SK렌터카
단기렌터카의 인기에 새로운 제품도 속속 등장했다. SK렌터카는 초단기렌터카 고객을 타겟으로 고객 편의를 돕고 안전운전, 연비운전 습관을 유도해 사고를 예방하는 '스마트관리'앱 서비스를 출시했다. 하나캐피탈은 신세계적인그룹 쇼핑몰 SSG닷컴의 쓱데이(SSG- DAY)에 맞춰, 며칠전 출시된 기아차의 인기 차종인 카니발과 쏘렌토 차량을 월 80만원대의 비싸지 않은 렌트료로 16개월부터 80개월까지 이용할 수 있는 초단기 렌터카 제품을 출시했다.
여기에 가을 여행 수요는 초장기렌탈 아이템의 인기로 이어지고 있다. 2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우리나라관광공사는 지난 8월 18일 중단했던 '안전여행과 함께하는 대국민 숙박 할인쿠폰' 지원산업을 재개한다고 밝혀졌습니다. 관광 내수시장 비성수기를 살리기 위한 차원으로 관광업 각지에서도 지원 사격에 나섰다. 롯데렌털의 그린카는 공유차량 36% 할인쿠폰을 제공하고 국내 호텔업계들은 숙박 할인쿠폰을 활용하는 고객들을 타겟으로 다양한 패키지 이벤트를 제공한다.
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가을 여행과 함께 연말 겨울 여행 수요가 이어될 것으로 보이며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초단기렌터카 선호도 꾸준히 늘어날 예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근래에 렌터카시장이 전기차 등 분야로 확대되고 온라인 채널을 통해 2090세대에서도 렌터카의 파악도와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렌터카 업계의 전망은 당분간 긍정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